「J리그 규약」 제3장 「J클럽」
제19조의 2〔J2클럽의 자격 요건〕
(1) J2클럽은, 이하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으로 견딜 수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일본법에 근거해 설립된 공익 법인 또는 발행제주식 총수의 과반수를 일본국적을 가지는 것이 보유하는 주식회사인 것
프로 A계약서를 체결한 선수를 5명 이상 보유하고 있는 것
협회의 가맹 팀에 관한 규정에 정하는 등록 종별의 제1종, 제2종, 제3종 및 제4종에 속하는 팀을 가지고 있는 것(다만, 제4종에 대해서는 그 연대에 대한 축구 스쿨, 클리닉등의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만족).덧붙여 제2종, 제3종 및 제4종의 어느쪽이든 하나에 관해서는, 클럽이 J2클럽으로서 처음으로 참가한 시즌을 포함해라 3 시즌이 종료할 때까지 유예를 마련하는
홈 스타디움을 확보하고 있는 것
제113조 및 제114조에 정하는 감독 및 코치를 보유하고 있는 것

제20조〔입회〕
(2) J리그는, 다음의 조건을 채우는 준가맹 클럽을 J2회원으로서 입회시킬 수 있는
준가맹 클럽으로서의 상당 기간에 및 활동 실적에 대하고, 이사회로부터 J2 회원으로서의 적정이 인정된 것
제19조의 2 제1호로부터 제5호까지의 요건을 구비하는 것
JFL에 있어서의 연간 순위가, 4위 이내인 것.다만 이것은, 장래 J2회원수가 소정의 수(현단계에서는 18을 상정)에 이를 때까지의 잠정적인 규정으로 하는
입회 직전 연도까지, 팬클럽이나 후원회등의 안정적인 지원 조직을 정비하는 것
입회 직전 연도의 JFL의 리그전에 있어서의 1 시합 평균 관객수가, 원칙으로서 3,000명 이상인 것
입회 직전 연도에, 법인에 상근 임원이 내려 한편 상근 사원이 3명 이상 있는 것
입회 직전 연도에 있어서의 연간 사업 수입이 1.5억엔 정도가 되면, 합리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것
(3) J2회원으로서 입회를 희망하는 클럽은, 9월 30일까지 의장에 대해 소정의 입회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4) J리그 사무국은, 전항의 입회 신청서를 제출한 클럽에 관해, 다음일항을 실시한다.
클럽 책임자 및 행정 당국 책임자로부터의 청문
지역과의 협력 관계 및 홈 스타디움, 연습장등에 관한 현지조사
클럽의 경영상태, 팀의 전력, 관객수, 선수 육성 그 외 J리그가 필요로 인정하는 사항에 관한 조사
(5) 이사회는, 전항의 조사등의 결과를 근거로 해 입회의 가부를 심의해, 그 결과를 제3항의 신청 기한부터 3개월 이내 또는 JFL 시즌 종료의 3일 뒤에까지에, 해당 클럽에 서면에서 통지한다.
(6) 전항에 의해, J2 회원으로서의 입회가 승인된 클럽은, J리그에 대해, 승인일부터 1개월 이내에, 소정의 입회금을 납입해야 한다.이 경우에 있어서의 J2 회원으로서의 자격은, 소정의 입회금의 납입 완료를 조건으로서 승인일에 거슬러 올라가 인정되는 것으로 한다.

제113조[톱 팀의 감독]
J클럽의 톱 팀은, 감독으로서 협회가 인정한 S급 코치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사람을 두지 않으면 안 된다.

제114조[톱 팀 이외의 감독 또는 코치]
J클럽의 톱 팀 이외의 팀은, 감독 또는 코치로서 협회가 인정한 다음의 각 호에 정하는 코치 라이센스를 보유하는 사람을 1명 이상 두지 않으면 안 된다.
새틀라이트 팀:A급 이상
2종, 3종 및 4종 팀:B급 이상

 

출처 : 사커월드

 

이런 체계가 잡힌 일본이 참 부럽다.

Posted by 공차는아이
,